SDS 사용법

2010.05.12 03:01

조인상 조회 수:6953

원문 : http://www.ischo.net -- 조인상 // 시스템 엔지니어

Writer : http://www.ischo.net -- ischo // System Engineer in Replubic Of Korea

+++++++++++++++++++++++++++++++++++++++++++++++++++++++

 

본문 : http://www.ischo.net -- 조인상 //시스템 엔지니어

+++++++++++++++++++++++++++++++++++++++++++++++++++++++


출처 : http://ppland.com
==========================


OS Mirrorring


1. disksuite *.* 를 설치합니다.

2. 총 2의 디렉토리가 구성됩니다.
  /etc/lvm
  /usr/sbin

3. 먼저 disk size가 같다고 하고 각각의 디스크에는 약3~10mb 정도의 메타db영역을 남겨둡니다.
  처음 os 설치시에 영역을 확보해두시면 됩니다.

4. os 설치가 끝나면..miiror target disk partition을 똑같이 구성합니다.
  label까지 합니다.

그러면 준비는 끝납니다.


예제

구성은 다음과같다

disk1  ------------------------------>  disk2
c0t0d0s0  /
      s1  swap
      s6  /usr
      s7  metadb영역

5 /etc/opt/SUNWmd/bin  디렉토리에 md.tab 화일을 구성합니다.
(아래의 d0 는 d10 과 d20을 묶어두기 위한 pool영역이라 보시면됩니다.
  숫자는 가독성을 위하여 d0 영역에 d10 d20이라 정해놓은 것이니 크게 의미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d0    -m  d10
d10  1  1  /dev/dsk/c0t0d0s0
d20  1  1  /dev/dsk/c0t1d0s0
d1    -m  d11
d11  1  1  /dev/dsk/c0t0d0s1
d21  1  1  /dev/dsk/c0t1d0s1
d2    -m  d12
d12  1  1  /dev/dsk/c0t0d0s6
d22  1  1  /dev/dsk/c0t1d0s6

위의 작성이 끝나면.. 저장을 하고 나옵니다.
다음의 commend 는 /usr/opt/SUNWmd/sbin  path에 존재합니다.

#metadb -a    -f  /dev/dsk/c0t0d0s7  /dev/dsk/c0t1d0s7
(메타 db 영역을 잡아줍니다.) -a( add) -d (delete) -f (강제로)
#metadb  (잡아진 영역을 보여줍니다.)
#metainit -f d10
#metainit -f d20 (먼저 각각의 영역을 stripe로 잡아줍니다.)

#metainit -f d11
#metainit -f d21

#metainit -f d12
#metainit -f d22

#metainit -f d0  (이 명령을 내리면 d0의 pool안에 stripe된 d10이 들어갑니다.)
#metainit -f d1  (이 명령을 내리면 d1의 pool안에 stripe된 d11이 들어갑니다.)
#metainit -f d2  (이 명령을 내리면 d2의 pool안에 stripe된 d12가 들어갑니다.)

#metaroot d0( 이명령으로 root device 명이 변경되며, 그 기록은 /etc/system 
/etc/vfstab 화일의 수정을 가합니다.
명령을 내리시기전 화일을 백업하셔야 합니다. (부팅이 안될수도 있기에..)

#reboot

#metattach d0 d20 (이명령을 내리면 d0의 pool 안에 있던 d10 과 d20의 mirror가 구성되어집니다)
#metattach d1 d21 (이명령을 내리면 d1의 pool 안에 있던 d11 과 d21의 mirror가 구성되어집니다)
#metattach d2 d22 (이명령을 내리면 d2의 pool 안에 있던 d12 과 d22의 mirror가 구성되어집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동기화되는 정도를 지켜보시면 됩니다.
#metastat | more
#metastat | d0



stripe입니다.(RAID 0)


disk 4개를 stripe 로 묶을때입니다. 통으로
먼저 disk 4개의 10mb정도의 metadb영역을 만듭니다.
partition을 구성합니다. 4개 똑같이 하면 되겠지요
label을 시킨후

먼저 metadb를 pool 안에 적용시킵니다.
(metadb는 7번 slice 라고 하고 data 영역을 3 slice라고 합니다.)

#metadb -a -f /dsk/c0t1d0s7 /dev/dsk/c0t2d0s7 \
/dev/dsk/c0t3d0s7 /dev/dsk/c0t4d0s7
(metadb적용)
#metadb
(적용사항을 확인합니다.)


/etc/opt/SUNWmd/md.tab 화일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d10        1 4 /dev/dsk/c0t1d0s3 /dev/dsk/c0t2d0s3 \
/dev/dsk/c0t3d0s3  /dev/dsk/c0t4d0s3
#metainit -f d10
적용시킨후 바로 파일 시스템을 만드시면 됩니다.
#newfs /dev/md/rdsk/d10 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mirror 입니다.(RAID 0+1)


mirror는 metadb영역까지는 같지만.
md.tab부터 설명드립니다.
d0 -m  d10
d10        1 1 /dev/dsk/c0t1d0s3
d20        1 1 /dev/dsk/c0t2d0s3
d1 -m  d11
d11  1 1 /dev/dsk/c0t3d0s3
d21  1 1 /dev/dsk/c0t4d0s3

각각 1개씩 mirror입니다. (d10 d20 mirror, d11 d12 mirror)
#metainit -f d10
#metainit -f d20
#metainit -f d11
#metainit -f d21
그러면 일단 stripe 구성이 됩니다. (아까의 stripe랑은 숫자가 틀린것
보이지죠) 그거랑은 틀리니 주의하십시오

#metainit -f d0
#metainit -f d1
위의 명령을 내림으로써 d0라는 pool에 d10은 자동으로 들어가게됩니다.
(정리하면, d0라는 mirror영역에 먼전 d10이라는 sub mirror가 먼저들어가게 되는 것이지요)
여기서 부터는 #metastat라는 명령으로 현재 상황을 볼수 있습니다.
아무런 변화가 없을겁니다. )
#metaattache d0 d20
#metaattache d1 d21
(위의 명령어를 실행되면 d0영역에 있던 d10과 새로 적용된 d20의 mirror가 시작됩니다.)
#metastat 명령어를 확인하면 %로 현재의 진행상황이 올라가게 됩니다.
기다리면 mirror가 완성되어 집니다.

또 한가지 경우

disk 2개를 먼저 묶어서  mirror할때는
d0 -m  d10
d10        1 2  /dev/dsk/c0t1d0s3 /dev/dsk/c0t2d0s3
d20        1 2  /dev/dsk/c0t3d0s3 /dev/dsk/c0t4d0s3

위에 처럼 md.tab을 조정하시면되겠지요?



RAID 5


d13        -r /dev/dsk/c0t1d0s3 /dev/dsk/c0t2d0s3 \
            /dev/dsk/c0t3d0s3 -h hsp000
hsp000  /dev/dsk/c1t4d0s3
#metainit -f d13
위의 명령어 실행후 metastat로 확인을 하게되면 4개의 disk로 1개의 hot spare를
두어 실행중인 %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공지] 게시자료 열람자유. 불펌금지입니다. 조인상 2010.12.07 20188
73 시스템 패닉메시지 Score05/Score95 조인상 2010.05.12 6743
72 vi편집기 이용하여 텍스트 암호화하기 조인상 2010.05.12 6338
71 utmp, utmpx, wtmp 및 wtmpx 파일을 읽는 방법 조인상 2010.05.12 10027
70 CDE화면으로 로그인이 안될때... 조인상 2010.05.12 6086
69 SPARC 10의 / 파일시스템 용량제한 조인상 2010.05.12 6273
68 RACK 전원코드의 V(볼트)내역 조인상 2010.05.12 6274
67 EIS install 방법 조인상 2010.05.12 13794
66 SDS RAID 5 에서 hotspare 디스크 교체 조인상 2010.05.12 8689
65 OS 디스크 복사(dump) 하기 조인상 2010.05.12 9377
64 OBP 버전 확인 및 패치방법 조인상 2010.05.12 7290
63 솔라리스 버전별 유저수 / 한 파일시스템에 만들수 있는 파일개수 조인상 2010.05.12 9879
62 bind 유틸 설치 조인상 2010.05.12 5554
61 테잎을 이용한 백업스크립트 조인상 2010.05.12 7823
60 터미널 접속방법 및 tip command 정리 조인상 2010.05.12 7471
59 tape 인식이 안될때 재인식시키는 방법 조인상 2010.05.12 16079
58 vi에서 ^M 표시 없애는 방법 조인상 2010.05.12 6544
57 하드 디스크 모델넘버 읽는 법 조인상 2010.05.12 8872
56 qlogic 2300 SAN FC카드 드라이버 설치 하기 file 조인상 2010.05.12 8603
55 솔라리스 DVD 파일 합치기 조인상 2010.05.12 8697
54 sendmail relay test site 조인상 2010.05.12 6346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