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M 설치하기
2010.05.12 04:20
원문 : http://www.ischo.net -- 조인상 // 시스템 엔지니어
Writer : http://www.ischo.net -- ischo // System Engineer in Replubic Of Korea
+++++++++++++++++++++++++++++++++++++++++++++++++++++++
본문 : http://www.ischo.net -- 조인상 //시스템 엔지니어
+++++++++++++++++++++++++++++++++++++++++++++++++++++++
+++++++++++++++++++++++++++++++++++++++++++++++++++++++
Apache,mysql,php 설치하기
1.apache,mysql,php파일(source파일: tar.gz로 된 파일)을 다운받아 /usr/local/src에 위치시킨다.
예) apache => www.apache.org
mysql => www.mysql.com
php => www.php.net
2.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푼다.
예) tar zxvf mysql-3.23.41.tar.gz
3.기존의 인스톨된 apache제거하기 : rpm패키지로 설치되어 있는 아파치 웹서버 프로그램을 삭제한
다. 꼭 삭제할 필요는 없지만, 공간도 차지하고 새롭게 설치할
아파치와 충돌될 수도 있다.
1) 아파치 데몬을 정지시킴 : /etc/rc.d/init.d/httpd stop
2) 인스톨된 아파치를 찾는다. : rpm -qi apache
3) 찾아진 아파치를 모두 제거한다.
예) rpm -e apache-1.3.14 --nodeps
4.php및 mysql제거
1) rpm -qi php
2) 찾아진 php전부제거한다.
3) mysql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거한다.
5.mysql설치
1) mysql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2) ./configure --prefix=/usr/local/mysql --with-charset=euc_kr
=> --prefix는 인스톨한 기본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with-charset=euc_kr은 한글을
지원한다는 뜻이다. 이 옵션을 안주어도 큰 상관은 없다.
3) make (소스이기 때문에 컴파일과정이 필요)
4) make install (컴파일한 것을 실행시킴)
6.apache환경설정
1)apache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2)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아파치가 설치될 디렉토리 지정)
7.php설치
1)php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2) ./configure --with-mysql=/usr/local/mysql --with-apache=../apache_1.3.20 --enable-track-
vars
=> --with-mysql은 MySQL과 연동하기 위해 MySQL이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것이고,
--with-apache는 아파치에 static object로 인스톨한다는 것이다. 경로는 아파치 소스가 풀려
있는 곳을 가리켜야 한다. --enable-track-vars는 HTTP_GET_VARS, HTTP_POST_VARS, HTTP_COOKIE
_VARS 배열에 있는 GET/POST/COOKIE변수들이 어디서 왔는지 기억하고 있게 만든다. 이 옵션은
단지 Default값을 정하는 것 뿐이다.
3) make
4) make install
5) cp php.ini-dist /usr/local/lib/php.ini
8.apache설치
1) apache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2)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activate-module=src/modules/php4/libphp4.a
=> php를 아파치모듈로 인식하기 위해 환경 설정을 한다.
3) make
4) make install
9.httpd.conf설정(/usr/local/apache/conf/httpd.conf의 환경파일을 설정)
1)ServerName의 항목을 찾아 입력한다. => Domain Name을 입력
2)php관련환경설정(php4.0기준)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두 줄이 있다. 일단 php를 사용하려면 위 두 줄의 주석처리(#)를 없앤다. 그리고, 추가로 사용하
고자 하는 php확장자를 지정해준다.
(예)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htm .html .inc .php4 .php3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참고)php가 제대로 연동되는지 테스트해보기
간단히 test.php로 다음과 같이 만든다.
<?
phpinfo();
?>
그 후 웹브라우저에서 띄워본다. 만약 php관련정보가 뜬다면 제대로 세팅된 것이다.
10.웹문서를 올린다.
/usr/local/apache/htdocs에 index.html을 메인페이지로 올린다.
10. 데몬을 재가동한다.
/usr/local/apache/bin/apachectl start
<참고1> MySQL의 테스트
1) MySQL생성하기 : 처음 설치시 한번 꼭 실행한다.
./bin/mysql_install_db
2)MySQL데몬을 띄운다. : 설치된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데몬을 띄운다.
./bin/safe_mysqld &
3)실행
./bin/mysql mysql
4)성공으로 실행됐을 경우 : 다음과 같이 quit명령을 내려 결과가 나오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
mysql> quit
bye
<참고2> MySQL데몬 부팅시 마다 띄우기
Mysql은 부팅과 동시에 띄우도록 /etc/rc.d/rc.local파일에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usr/local/mysql/bin/safe_mysqld &
| 기존의 apache | 새로운 apache | |
| 홈페이지문서의 위치 | /home/httpd/html | /usr/local/apache/htdocs |
| 환경설정파일의 위치 | /etc/httpd/conf/httpd.conf | /usr/local/apache/conf/httpd.conf |
| 데몬의 위치 | /usr/sbin/httpd | /usr/local/apache/bin/httpd |
| 스트립트파일의 위치 | /etc/rc.d/init.d/httpd | /usr/local/apache/apachect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