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프,시디,디스켓 디바이스Tape 디바이스
2010.05.11 16:51
원문 : http://www.ischo.net -- 조인상 // 시스템 엔지니어
Writer : http://www.ischo.net -- ischo // System Engineer in Replubic Of Korea
+++++++++++++++++++++++++++++++++++++++++++++++++++++++
본문 : http://www.ischo.net -- 조인상 //시스템 엔지니어
+++++++++++++++++++++++++++++++++++++++++++++++++++++++
출처 : http://www.systemadmin.pe.kr
테이프,시디,디스켓 디바이스Tape 디바이스
UnixWare 7에서 지원하는 테이프 디바이스들로는 대부분의 Unix 계열 OS가 지원하는 대부분의 테이프 디바이스들을 지원한다. 인터널 즉 내장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QIC, DAT와 익스터널 즉 외장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8mm 테이프 디바이스(인터널도 있음)와 DLT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을 여러 개로 묶어 보다 많은 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게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들도 나와있다.
테이프 디바이스의 주 용도는 소프트웨어 설치와 데이터 백업에 있다. 백업에 관해서는 알아 두어야 할 중요한 사항이 있는데, 테이프로 백업 받은 데이터는 장기 보관용이 아니라 임시 보관용이라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테이프는 온도와 습도에 약하기 때문에 보관 장소나 마그네틱 코팅을 어떻게 처리하였느냐에 따라 보간 기간이나 사용빈도가 틀려진다. 중요한 데이터는 두개 정도는 복사해 놓아야 하고 장기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3 ~6 개월에 1번씩 디스크로 로드하였다가 다시 테이프로 받아 두어야 한다. 데이터를 백업 받은 모든 테이프는 1년 이상 보관하지 말아야 한다. 1년 이상을 보관하고자 할때에는 백업 대장을 만들어 놓고, 보관 도중에 적어도 한번은 확인을 하여 다시 백업 받아두어야 보다 확실한 백업 관리가 이루어 진다.
Tape Device 종류
QIC ( Quarter-Inch Cartridge) 테이프 디바이스
1/4 인치 테이프 디바이스는 150 MB, 525 MB, 1 GB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1 GB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CD-ROM이 애용되기 전 까지 시스템 OS나 각종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을 깔 때 가장 많이 사용하던 디바이스이다. 데이터 백업용으로도 사용되나 최근에는 대용량의 디스크 장치를 따라 가지 못해 소량의 데이터 백업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DAT(Digital Audio Tape) 테이프 디바이스
4mm 테이프 디바이스로 알려져 있고 테이프의 크기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테이프에 비해 작다. 백업 용량은 QIC테이프 디바이스에 비해 크며, 1 GB, 2GB, 4GB, 12GB 등을 지원하고 있다. 종류로는 DDS 1, DDS 2, DDS 3가 있으며, 테이프 디바이스가 어느 타입을 지원하느냐에 따라 저장용량이 틀려진다. 물론 DDS 3타입이 가장 많은 데이터 량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 데이터가 압축되는 량에 따라 더 많은 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ape Device 이름
시스템이 인식하고 있는 테이프 디바이스명은 /etc/device.tab 파일에 있다. device.tab 파일에서
테이프 쪽만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ctape1:/dev/rmt/c0b0t6l0:::: type="qtape" scsi="true" volume="cartridge" removable="true"
pdimkdtab="true" bklib="SCSI" bufsize="65536" copy="/bin/dd if=CDEVICE1 of=CDEVICE2
bs=10240" desc="Tape Drive 1" norewind="/dev/rmt/c0b0t6l0n" erasecmd="/usr/lib/tape/tapecntl –e
/dev/rmt/c0b0t6l0n" rewind="/usr/lib/tape/tapecntl -w /dev/rmt/c0b0t6l 0n" rewindcmd=
"/usr/lib/tape/tapecntl -w /dev/rmt/c0b0t6l0n" retension="/usr/lib/tape/tapecntl -t /dev/rmt/c0b0t6l0n"
display="true" inquiry="HP C1533A A708”
테이프 드라이버의 디바이스 노드는 /dev/rmt 디렉토리에 리스트되어 있다.
#/dev/rmt:>ls -al
crw-rw-rw- 2 root sys 111, 0 Aug 27 09:41 c0b0t6l0
crw-rw-rw- 2 root sys 111, 1 Aug 20 16:28 c0b0t6l0n
crw-rw-rw- 2 root sys 111, 3 Aug 20 16:28 c0b0t6l0nr
crw-rw-rw- 2 root sys 111, 2 Aug 20 16:28 c0b0t6l0r
crw-rw-rw- 2 root sys 111, 4 Aug 20 16:28 c0b0t6l0u
crw-rw-rw- 1 root sys 111, 0 Sep 20 15:22 c0s0
crw-rw-rw- 1 root sys 111, 1 Aug 20 16:28 c0s0n
crw-rw-rw- 1 root sys 111, 3 Aug 20 16:28 c0s0nr
crw-rw-rw- 1 root sys 111, 2 Aug 20 16:28 c0s0r
crw-rw-rw- 2 root sys 111, 0 Aug 27 09:41 ctape1
crw-rw-rw- 2 root sys 111, 3 Aug 20 16:28 nrtape1
crw-rw-rw- 2 root sys 111, 1 Aug 20 16:28 ntape1
crw-rw-rw- 2 root sys 111, 2 Aug 20 16:28 rtape1
crw-rw-rw- 2 root sys 111, 4 Aug 20 16:28 utape1
대부분의 디바이스 노드는 major #와 minor #를 가지고 있어서 고유의 디바이스로 구분된다. 이 두 번호가 같으면 같은 디바이스이다. minor #만 틀리다면 사용 용도만 틀린 것일뿐 같은 디바이스인 경우이다. 위의 경우 major #는 111이고, minor #는 0에서 시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테이프를 액세스하는데 사용된 디바이스 이름에 따라 테이프가 어떻게 취급되는 가를 알아보자.
ctape# non-retension, rewinding device
nrtape# retension, non-rewinding device
ntape# non-retension, non-rewinding device
rtape# retension, rewinding device
utape# unload on close device
가령 테이프에 있는 패키지를 추가하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이 한다.
#pkgadd –d ctape1
tapecntl 명령어
다음 명령어는 테이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유용하다. tapecntl 명령어는 서브디바이스인
/dev/rmt/ntape#로 로 전송되며, 디바이스 명이 명시되지 않을 때는 디폴트로 ntape1이 된다. 그리고
이 명령어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 tapecntl options device
아래에는 옵션을 이용한 예제들과 설명이다.
#tapecntl –e /dev/rmt/c0s0 : 테이프의 내용 삭제함
#tapecntl –l /dev/rmt/c0s0 : 테이프를 BOT로 이동
#tapecntl –r /dev/rmt/c0s0 : 테이프 컨트롤러를 초기화하고 테이프를 BOT 까지 되돌리며,
테이프 디바이스를 reset
#tapecntl –t /dev/rmt/c0s0 : 테이프를 retension 시킴
#tapecntl –u /dev/rmt/c0s0 : 테이프를 빼냄
#tapecntl –b /dev/rmt/c0s0 : 테이프 디바이스의 block length를 읽어 보여준다.
#tapecntl –v /dev/rmt/c0s0 : 테이프 디바이스를 variable length block들을 읽고 쓸 수 있도록
설정. 단 디바이스가 variable length를 지원하여야 한다.
이 옵션을 적용하면 속도가 향상된다.
#tapecntl –w /dev/rmt/c0s0 : 테이프를 BOT 마크까지 되돌림
CD-ROM 디바이스
CD-ROM 디바이스는 IDE와 SCSI 용 모두를 UnixWare 7에서 사용할 수 있다. 대분분 유닉스 머쉰에서는 IDE 타입 보다는SCSI 타입을 주로 사용한다. 설치 방법은 테이프 디바이스와 같으며 먼저 SCSI
ID와 터미네이터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다른 SCSI ID와 충돌이 일어나면 시스템이 부팅이 안되거나 쫑난 디바이스중의 하나나 둘 다를 인식 안하고 부팅될 수가 있다
현재의 디바이스 구성 상태를 알아보는 명령어로 ‘sdiconfig’를 이용하면 알아볼 수 있다. 예를 들면,
#/:>sdiconfig -l
0:0,7,0: HBA : (cpqsc,1) Compaq SCSI-2
0,0,0: DISK : COMPAQ DGHS09Y 01C0
0,1,0: DISK : COMPAQ WDE4360S 1.60
0,6,0: TAPE : HP C1533A A708
0,16,0: HBA : COMPAQ PROLIANT 3-5I JM14
1:0,7,0: HBA : (ide,1) Generic ESDI/IDE/ATA
0,0,0: CDROM : SONY CD-ROM CDU571-Q 1.1a
ATAPI CD-ROM의 경우, slave CD-ROM 디바이스는 같은 컨트롤러에서 master 디바이스 없이는 지원
되지 않는다.
CD-ROM Device 이름
디바이스 이름은 블록 디바이스로 /dev/cdrom/cdrom#이고, 캐릭터 디바이스로 /dev/rcdrom/cdrom#
이다. 아래에 보인 바와 같이 두개의 디바이스가 메이져와 마이너 번호가 같으므로 디바이스가
같다고 보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dev/cdrom/cdrom1을 많이 사용한다.
# ls -al /dev/cdrom
brw-rw-rw- 2 root sys 110, 0 Aug 20 16:28 c1b0t0l0
brw-rw-rw- 2 root sys 110, 0 Aug 20 16:28 cdrom1
# ls -al /dev/rcdrom
crw-rw-rw- 2 root sys 110, 0 Aug 20 16:28 c1b0t0l0
crw-rw-rw- 2 root sys 110, 0 Aug 20 16:28 cdrom1
CD-ROM Driver
CD-ROM 드라이버는 UnixWare 7에서는 sc01 이다. IDE와 SCSI 타입의 CD-ROM 둘다를 지원
하며, IDE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IDE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와 ATAPI( ATA Packet
Interface)를 지원한다. 그러나 최근에 나온 APAPI IDE CD-ROM들 중에 몇몇은 지원이 안될 수도
있다. SCO사의 웹 페이지에서 확인하여 보라.
Mounting CD-ROM
CD-ROM은 일기 전용이며, CD-ROM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읽거나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운트시켜야 한다. 보다 자세한 마운트 옵션들을 알아 보려면 ‘#man mount_cdfs’를 하면 된다.
CD-ROM에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은 cdfs이다. 일기 전용으로 마운트하는 옵션으로는 “-r”과
“-o ro”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mnt로 마운트 시켜보자. /mnt 디렉토리는 보통 테스트 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디렉토리로 테스트가 끝나면 반드시 언마운트 시켜놓는 것이 좋다.
#mount –F cdfs –r /dev/cdrom/cdrom1 /mnt
위와같이 CD-ROM을 /mnt로 마운트 시켜 놓은 후 필요한 작업을 해 주면 된다. 가령 필요한
작업이 ‘pkgadd’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작업이라면 아래와 같이 하여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면 된다.
#pkgadd –d cdrom1
경우에 따라 ‘pkgadd’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고 마운트된 /mnt 디렉토리로 가서 설치와 관련된
스크립트를 실행하여야 되는 것들도 있다.
Diskette device
디스켓을 액세스하는 방법은 먼저 디스켓의 용량과 작업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파일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Diskette device 이름
디스켓들을 /dev/dsk에 정의된 블럭 디바이스 이름들과 /dev/rdsk에 정의된 raw 디바이스 이름들로
되어 있다. 블록 디바이스를 이용하면 보다 빠른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반면, 로 디바이스는 보다
직접적인 액세스를 위하여 보다 유연성있게 하여 준다.
가령 플라피 디스켓을 포멧하는 명령어인 ‘format’은 로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플라피 드라이브의 용량에 따른 디바이스에 관하여 알아보자.
Drive Specification Density
3h 3.5” high density : 1.44MB
5h 5.25” high density: 1.2MB
Diskette format 하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위의 두 종류를 포멧하여 보자. 포멧 정보도 표시되게 옵션 “-v”도
같이 사용하면 편리하다.
# format –v /dev/rdsk/f03h
# format –v /dev/rdsk/f05h
만약 디바이스 이름을 잘 모르겠으면 디바이스 이름을 리스트 해주는 명령어인 ‘devattr’를 이용
하면 편리하다. 물론 직접 /etc/device.tab 파일에서 검색하여 보아도 된다.
# devattr -v diskette1|grep fmtcmd
fmtcmd='/usr/sbin/format -v /dev/rdsk/f03ht'
DOS diskette 마운트하기
도스 디스켓을 ‘mount’ 명령어를 이용하여 마운트 시킬 수 있다. DOS로 포멧된 디스켓을
/mnt 디렉토리로 마운트 하여 보자.
# mount –F dosfs /dev/fd0 /mnt
이렇게 하면 어떤 다른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시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출처 : http://www.systemadmin.pe.kr
테이프,시디,디스켓 디바이스Tape 디바이스
UnixWare 7에서 지원하는 테이프 디바이스들로는 대부분의 Unix 계열 OS가 지원하는 대부분의 테이프 디바이스들을 지원한다. 인터널 즉 내장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QIC, DAT와 익스터널 즉 외장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8mm 테이프 디바이스(인터널도 있음)와 DLT 디바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을 여러 개로 묶어 보다 많은 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게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들도 나와있다.
테이프 디바이스의 주 용도는 소프트웨어 설치와 데이터 백업에 있다. 백업에 관해서는 알아 두어야 할 중요한 사항이 있는데, 테이프로 백업 받은 데이터는 장기 보관용이 아니라 임시 보관용이라는 사실을 절대 잊어서는 안된다. 테이프는 온도와 습도에 약하기 때문에 보관 장소나 마그네틱 코팅을 어떻게 처리하였느냐에 따라 보간 기간이나 사용빈도가 틀려진다. 중요한 데이터는 두개 정도는 복사해 놓아야 하고 장기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3 ~6 개월에 1번씩 디스크로 로드하였다가 다시 테이프로 받아 두어야 한다. 데이터를 백업 받은 모든 테이프는 1년 이상 보관하지 말아야 한다. 1년 이상을 보관하고자 할때에는 백업 대장을 만들어 놓고, 보관 도중에 적어도 한번은 확인을 하여 다시 백업 받아두어야 보다 확실한 백업 관리가 이루어 진다.
Tape Device 종류
QIC ( Quarter-Inch Cartridge) 테이프 디바이스
1/4 인치 테이프 디바이스는 150 MB, 525 MB, 1 GB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1 GB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CD-ROM이 애용되기 전 까지 시스템 OS나 각종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을 깔 때 가장 많이 사용하던 디바이스이다. 데이터 백업용으로도 사용되나 최근에는 대용량의 디스크 장치를 따라 가지 못해 소량의 데이터 백업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DAT(Digital Audio Tape) 테이프 디바이스
4mm 테이프 디바이스로 알려져 있고 테이프의 크기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테이프에 비해 작다. 백업 용량은 QIC테이프 디바이스에 비해 크며, 1 GB, 2GB, 4GB, 12GB 등을 지원하고 있다. 종류로는 DDS 1, DDS 2, DDS 3가 있으며, 테이프 디바이스가 어느 타입을 지원하느냐에 따라 저장용량이 틀려진다. 물론 DDS 3타입이 가장 많은 데이터 량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 데이터가 압축되는 량에 따라 더 많은 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ape Device 이름
시스템이 인식하고 있는 테이프 디바이스명은 /etc/device.tab 파일에 있다. device.tab 파일에서
테이프 쪽만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ctape1:/dev/rmt/c0b0t6l0:::: type="qtape" scsi="true" volume="cartridge" removable="true"
pdimkdtab="true" bklib="SCSI" bufsize="65536" copy="/bin/dd if=CDEVICE1 of=CDEVICE2
bs=10240" desc="Tape Drive 1" norewind="/dev/rmt/c0b0t6l0n" erasecmd="/usr/lib/tape/tapecntl –e
/dev/rmt/c0b0t6l0n" rewind="/usr/lib/tape/tapecntl -w /dev/rmt/c0b0t6l 0n" rewindcmd=
"/usr/lib/tape/tapecntl -w /dev/rmt/c0b0t6l0n" retension="/usr/lib/tape/tapecntl -t /dev/rmt/c0b0t6l0n"
display="true" inquiry="HP C1533A A708”
테이프 드라이버의 디바이스 노드는 /dev/rmt 디렉토리에 리스트되어 있다.
#/dev/rmt:>ls -al
crw-rw-rw- 2 root sys 111, 0 Aug 27 09:41 c0b0t6l0
crw-rw-rw- 2 root sys 111, 1 Aug 20 16:28 c0b0t6l0n
crw-rw-rw- 2 root sys 111, 3 Aug 20 16:28 c0b0t6l0nr
crw-rw-rw- 2 root sys 111, 2 Aug 20 16:28 c0b0t6l0r
crw-rw-rw- 2 root sys 111, 4 Aug 20 16:28 c0b0t6l0u
crw-rw-rw- 1 root sys 111, 0 Sep 20 15:22 c0s0
crw-rw-rw- 1 root sys 111, 1 Aug 20 16:28 c0s0n
crw-rw-rw- 1 root sys 111, 3 Aug 20 16:28 c0s0nr
crw-rw-rw- 1 root sys 111, 2 Aug 20 16:28 c0s0r
crw-rw-rw- 2 root sys 111, 0 Aug 27 09:41 ctape1
crw-rw-rw- 2 root sys 111, 3 Aug 20 16:28 nrtape1
crw-rw-rw- 2 root sys 111, 1 Aug 20 16:28 ntape1
crw-rw-rw- 2 root sys 111, 2 Aug 20 16:28 rtape1
crw-rw-rw- 2 root sys 111, 4 Aug 20 16:28 utape1
대부분의 디바이스 노드는 major #와 minor #를 가지고 있어서 고유의 디바이스로 구분된다. 이 두 번호가 같으면 같은 디바이스이다. minor #만 틀리다면 사용 용도만 틀린 것일뿐 같은 디바이스인 경우이다. 위의 경우 major #는 111이고, minor #는 0에서 시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테이프를 액세스하는데 사용된 디바이스 이름에 따라 테이프가 어떻게 취급되는 가를 알아보자.
ctape# non-retension, rewinding device
nrtape# retension, non-rewinding device
ntape# non-retension, non-rewinding device
rtape# retension, rewinding device
utape# unload on close device
가령 테이프에 있는 패키지를 추가하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이 한다.
#pkgadd –d ctape1
tapecntl 명령어
다음 명령어는 테이프 디바이스를 제어하는데 유용하다. tapecntl 명령어는 서브디바이스인
/dev/rmt/ntape#로 로 전송되며, 디바이스 명이 명시되지 않을 때는 디폴트로 ntape1이 된다. 그리고
이 명령어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 tapecntl options device
아래에는 옵션을 이용한 예제들과 설명이다.
#tapecntl –e /dev/rmt/c0s0 : 테이프의 내용 삭제함
#tapecntl –l /dev/rmt/c0s0 : 테이프를 BOT로 이동
#tapecntl –r /dev/rmt/c0s0 : 테이프 컨트롤러를 초기화하고 테이프를 BOT 까지 되돌리며,
테이프 디바이스를 reset
#tapecntl –t /dev/rmt/c0s0 : 테이프를 retension 시킴
#tapecntl –u /dev/rmt/c0s0 : 테이프를 빼냄
#tapecntl –b /dev/rmt/c0s0 : 테이프 디바이스의 block length를 읽어 보여준다.
#tapecntl –v /dev/rmt/c0s0 : 테이프 디바이스를 variable length block들을 읽고 쓸 수 있도록
설정. 단 디바이스가 variable length를 지원하여야 한다.
이 옵션을 적용하면 속도가 향상된다.
#tapecntl –w /dev/rmt/c0s0 : 테이프를 BOT 마크까지 되돌림
CD-ROM 디바이스
CD-ROM 디바이스는 IDE와 SCSI 용 모두를 UnixWare 7에서 사용할 수 있다. 대분분 유닉스 머쉰에서는 IDE 타입 보다는SCSI 타입을 주로 사용한다. 설치 방법은 테이프 디바이스와 같으며 먼저 SCSI
ID와 터미네이터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다른 SCSI ID와 충돌이 일어나면 시스템이 부팅이 안되거나 쫑난 디바이스중의 하나나 둘 다를 인식 안하고 부팅될 수가 있다
현재의 디바이스 구성 상태를 알아보는 명령어로 ‘sdiconfig’를 이용하면 알아볼 수 있다. 예를 들면,
#/:>sdiconfig -l
0:0,7,0: HBA : (cpqsc,1) Compaq SCSI-2
0,0,0: DISK : COMPAQ DGHS09Y 01C0
0,1,0: DISK : COMPAQ WDE4360S 1.60
0,6,0: TAPE : HP C1533A A708
0,16,0: HBA : COMPAQ PROLIANT 3-5I JM14
1:0,7,0: HBA : (ide,1) Generic ESDI/IDE/ATA
0,0,0: CDROM : SONY CD-ROM CDU571-Q 1.1a
ATAPI CD-ROM의 경우, slave CD-ROM 디바이스는 같은 컨트롤러에서 master 디바이스 없이는 지원
되지 않는다.
CD-ROM Device 이름
디바이스 이름은 블록 디바이스로 /dev/cdrom/cdrom#이고, 캐릭터 디바이스로 /dev/rcdrom/cdrom#
이다. 아래에 보인 바와 같이 두개의 디바이스가 메이져와 마이너 번호가 같으므로 디바이스가
같다고 보아도 된다. 일반적으로 /dev/cdrom/cdrom1을 많이 사용한다.
# ls -al /dev/cdrom
brw-rw-rw- 2 root sys 110, 0 Aug 20 16:28 c1b0t0l0
brw-rw-rw- 2 root sys 110, 0 Aug 20 16:28 cdrom1
# ls -al /dev/rcdrom
crw-rw-rw- 2 root sys 110, 0 Aug 20 16:28 c1b0t0l0
crw-rw-rw- 2 root sys 110, 0 Aug 20 16:28 cdrom1
CD-ROM Driver
CD-ROM 드라이버는 UnixWare 7에서는 sc01 이다. IDE와 SCSI 타입의 CD-ROM 둘다를 지원
하며, IDE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IDE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와 ATAPI( ATA Packet
Interface)를 지원한다. 그러나 최근에 나온 APAPI IDE CD-ROM들 중에 몇몇은 지원이 안될 수도
있다. SCO사의 웹 페이지에서 확인하여 보라.
Mounting CD-ROM
CD-ROM은 일기 전용이며, CD-ROM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읽거나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마운트시켜야 한다. 보다 자세한 마운트 옵션들을 알아 보려면 ‘#man mount_cdfs’를 하면 된다.
CD-ROM에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은 cdfs이다. 일기 전용으로 마운트하는 옵션으로는 “-r”과
“-o ro”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mnt로 마운트 시켜보자. /mnt 디렉토리는 보통 테스트 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디렉토리로 테스트가 끝나면 반드시 언마운트 시켜놓는 것이 좋다.
#mount –F cdfs –r /dev/cdrom/cdrom1 /mnt
위와같이 CD-ROM을 /mnt로 마운트 시켜 놓은 후 필요한 작업을 해 주면 된다. 가령 필요한
작업이 ‘pkgadd’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작업이라면 아래와 같이 하여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하면 된다.
#pkgadd –d cdrom1
경우에 따라 ‘pkgadd’ 명령어를 사용하지 않고 마운트된 /mnt 디렉토리로 가서 설치와 관련된
스크립트를 실행하여야 되는 것들도 있다.
Diskette device
디스켓을 액세스하는 방법은 먼저 디스켓의 용량과 작업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파일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Diskette device 이름
디스켓들을 /dev/dsk에 정의된 블럭 디바이스 이름들과 /dev/rdsk에 정의된 raw 디바이스 이름들로
되어 있다. 블록 디바이스를 이용하면 보다 빠른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반면, 로 디바이스는 보다
직접적인 액세스를 위하여 보다 유연성있게 하여 준다.
가령 플라피 디스켓을 포멧하는 명령어인 ‘format’은 로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플라피 드라이브의 용량에 따른 디바이스에 관하여 알아보자.
Drive Specification Density
3h 3.5” high density : 1.44MB
5h 5.25” high density: 1.2MB
Diskette format 하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위의 두 종류를 포멧하여 보자. 포멧 정보도 표시되게 옵션 “-v”도
같이 사용하면 편리하다.
# format –v /dev/rdsk/f03h
# format –v /dev/rdsk/f05h
만약 디바이스 이름을 잘 모르겠으면 디바이스 이름을 리스트 해주는 명령어인 ‘devattr’를 이용
하면 편리하다. 물론 직접 /etc/device.tab 파일에서 검색하여 보아도 된다.
# devattr -v diskette1|grep fmtcmd
fmtcmd='/usr/sbin/format -v /dev/rdsk/f03ht'
DOS diskette 마운트하기
도스 디스켓을 ‘mount’ 명령어를 이용하여 마운트 시킬 수 있다. DOS로 포멧된 디스켓을
/mnt 디렉토리로 마운트 하여 보자.
# mount –F dosfs /dev/fd0 /mnt
이렇게 하면 어떤 다른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시켜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8 | I get "WARNING: System is in an unreliable state." when I log into my UnixWare evaluation system. | 조인상 | 2010.05.11 | 12735 |
17 | OVERVIEW OF UnixWare 7 PATCHES AND SUPPLEMENTS | 조인상 | 2010.05.11 | 10158 |
16 | inetd restart 하기 | 조인상 | 2010.05.11 | 9186 |
15 | 시스템 파라미터 변경 | 조인상 | 2010.05.11 | 8317 |
14 | 디스크 및 디바이스 관리 | 조인상 | 2010.05.11 | 9539 |
13 | 유닉스웨어 환경설정 | 조인상 | 2010.05.11 | 9975 |
12 | 메모리를 4기가 이상 사용해야 할때 | 조인상 | 2010.05.11 | 8870 |
11 | IPSTOR 관련 MPIO세팅 | 조인상 | 2010.05.11 | 9242 |
10 | 네트웍 관련 설정(NIC,service) | 조인상 | 2010.05.11 | 11599 |
9 | unixware 7 기본 교육설명서 | 조인상 | 2010.05.11 | 11924 |
8 | 디스크파티션 & VTOC | 조인상 | 2010.05.11 | 10695 |
7 | New Disk 추가 | 조인상 | 2010.05.11 | 9293 |
6 | Startup, boot Unix Ware & shutdown | 조인상 | 2010.05.11 | 11528 |
» | 테이프,시디,디스켓 디바이스Tape 디바이스 | 조인상 | 2010.05.11 | 8862 |
4 | Filesystem 만들기 | 조인상 | 2010.05.11 | 9663 |
3 | 파일시스템 운용 | 조인상 | 2010.05.11 | 11095 |
2 | 서버시간 자동동기화 | 조인상 | 2010.05.11 | 8617 |
1 | [unixware] OS 이중화 | 조인상 | 2010.05.09 | 20306 |